본문 바로가기
기업분석/휠라홀딩스

[기업분석]휠라홀딩스

by 컵코 2022. 4. 20.
728x90

 FILA는 1911년 이탈리아를 시작으로 한 글로벌 의류브랜드로 1991년 휠라코리아가 설립되며, 현재는 윤윤수 회장이 대표직을 맡고 있습니다.

 초기 휠라는 라이선스를 활용하여 운동화를 판매하는 비즈니스로, 한국에서 생산한 운동화를 브랜드를 붙여 미국에 판매하는데 성공하게 됩니다. 그러나 국내와는 달리 해외지사들은 적자에 시달리게 되고, 결국 본사는 매각이 추진되어 매물로 나오게 된 후 윤윤수대표의 추진으로 본사를 인수하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사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 그 후 2011년에는 골프용품업계 세계 1위 아쿠쉬네트 인수하였고, 2015년 대대적인 브랜드 리뉴얼을 진행하며 어글리 슈즈 열풍과 꿈의 텐베거 종목에 등극하게됩니다. 하지만 영광은 오래가지 못하였고 현재는 신발장에 구겨져서 버려 있는지도 모르는 어글리 슈즈처럼 주가는 바닥으로 쳐박혀 있다.

 

남들이 주목하고 있지 않는 지금 3가지 포인트를 통해 투자의 기회를 엿보려고 한다.

 

첫번째는 바로 싸다는 것이다.

 

현재 휠라홀딩스는 PER 9.14이며 12M PER 7.73이다. 업종 PER는 9.86으로 업종 대비해서 저평가 구간이다.

아래에서 보듯이 2018년 최저였던 7.09 대비하여도 역사적으로 저평가구간인 것은 맞다.

그만큼 휠라의 상황이 않좋은 건 아닌가? 라는 질문에 어글리 슈즈 이후 뚜렷한 성장이 없다는 것에 동의하며, 그것이 주가에 반영 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우리는 오늘보다 내일이 중요하지 않겠는가? 미래를 보자는 것이다.

아래는 휠라홀딩스의 시총분석이다. 휠라의 자랑이자 든든한 아쿠쉬네트 시총과 비교하보면 현재 휠라홀딩스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의 가치가 2208억으로 거의 반영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휠라홀딩스 아퀴시네트
휠라 본업가치
시가총액 시가총액(52%)
21,506 19,298 2,208

휠라 본업은 예전에 비해 성장성에 의문을 품고 있긴하지만 여전히 매출도 잘 일어나고 사업은 순항하고 있다. 주가라는 것이 반드시 가치를 다 반영한다고는 할수 없지만 시계열을 길게 가지고 간다면 분명히 수익과 주가는 수렴한다.

 

휠라는 최근 실적부진등으로 매장수 구조조정을 실시하였고, 이로인해 영업레버리지 효과 극대화가 가능해졌으며, 또 하나 주목해서 볼 특이점은 키즈라인은 규모를 줄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비용을 줄이는 구조조정이 아닌 선택과 집중을 한 구조조정이라고 할 수 있겠다.

구 분 2019년 2020년 2021년
휠라 184 177 155
휠라 키즈 91 91 92
휠라 언더웨어 218 201 180
아울렛 36 34 30
합 계 529 503 457

두번째는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가치이다.

 

FILA는 이태리 태생의 분명히 글로벌 브랜드이다.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전통의 가치는 남아있다는 것이다. 스포츠 브랜드로 나이키나 아디다스 등에 비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적어도 테니스 분야에서는 아직 경쟁력이 있다는 것이다.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2041310565962007

 

MZ세대, 골프에 이어 '테니스' 찍었다…패션사도 테니스 홀릭

코로나19속 골프가 MZ세대(1980년대초~2000년대초 출생 세대를 이르는 말)의 스포츠로 자리 잡은 가운데 최근에는 테니스가 MZ세대 사이에서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이에 패션업계는

news.mtn.co.kr

 

마지막으로 브랜드 리뉴얼이다.

 

리뉴얼의 성공이 가장 키포인트가 될 것이다. 이게 잘 안된다면 앞에서 말한 2가지 요소는 말짱 도루묵이라고 할 수 있겠다.

https://www.youtube.com/watch?v=OodOLCjj8do&list=WL&index=4&t=208s 

5개년 전략플랜을 발표한 영상이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고 결국 브랜드 가치 재정립 고객 경험 중심의 비지니스 모델 구축 ( 최근 한샘전략이랑 같은건가???) 마지막으로 주주가치제고 등 주주와 함께 갈 수 있는 경영환경 조성을 실시하겠다는 것인데 뭐 요즘 대부분의 기업들과 대동소이한 전략인거 같다. 그래도 브랜드 가치 재정립이 가장 주목해 볼 사항이다. 필라라는 브랜드야 옆에 사람에게 물어봐도 다 알 정도로 인지도나 브랜드력은 최우수에 가깝다 포지셔닝의 실패한 지난 시절을 와신상담하길 바란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41974151

 

'개미 무덤' 전락한 휠라…尹회장까지 팔 걷고 나섰다

'개미 무덤' 전락한 휠라…尹회장까지 팔 걷고 나섰다 , 윤윤수, 자사주 300억 매입 작년부터 이어진 주가조정 틈타 한달간 매집, 지분율 23%로 확대 경영권 강화·주주 가치 높이기 실적 이끈 골프

www.hankyung.com

글을 쓰고 있는 중에도 악재가 계속 나오는 지금...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