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금융 시장의 매커니즘

1) 기 능 : 자금의 흐름을 투자로 바꾸며, 리스크 관리수단 제공, 가격결정역활, 소비/투자 분리시켜 경제적 효용 증대
2) 분 류
○ 조달주체에 따라 : 직접금융시장 - 자금조달주체가 자신, 간접금융시장 - 중개기관이 자금조달 실시
○ 조달기간에 따라 : 단기금융시장 - 만기 1년이내, 자본(증권)시장 - 만기 1년이상

2. 단기 금융시장
· 역활 : 일시적 유동성 공급으로 신용 및 가격변동 위험 감소, 중앙은행의 공개시장정책 수행대상
· 종류 : 콜, CD, CP, RP(형식은 채권이나, 경제적으로 단기 자금대차거래), 통화안정증권 ( 14일~2년물)어음 등등
- 콜 : 차입(콜머니), 대여(콜론) 거의 1일물 중심이며, 단기 시장의 기준금리 및 장기 시장의 영향을 미침

3. 증권시장 : 광의) 유가증권과 자금의 수급이 이루어지는 곳(거래소+장외), 협의) 질서하에 증권 거래하는곳(거래소)
· 역활 : ① 산정자본 조달(자본전환), ② 투자수단제공, ③ 경제적 민주주의 실현의 장, ④ 자금 분배, ⑤ 재정금융정책
· 구조 : 발행시장+유통시장
· 종류 : 채무증권, 지분증권, 수익증권, 투자계약증권, 파생결합증권, 증권예탁증권

4. 채 권 : 비교적 장기로 불특정 다수에게 자금조달
· 특성 : 미리정해진 이자, 기한부, 확정성, 장기증권으로 유동성이 높은 증권
· 만기일, 액면금액, 표면이자율, 이자지급시기 등이 등재되어 있음
· 발행주체에 따라 : 국채,지방채, 특수채(특별법), 금융채(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금융기관), 회사채
· 보증유무에 따라 : 보증채, 담보부사채, 무담보/무보증
· 이자지급방법에 따라 : 이표채, 순수할인채, 복리채, 단리채, 거치채(서울도시철도채권)
· 이자율 변동에 따라 : 확정금리채, 변동금리채, 역변동금리채
· 원금상환방법에 따라 : 만기일시상환채, 장기분할채, 감채기금사채(감채기금 적립요), 임의상환채(옵션), 조기상환채
· 옵션여부에 따라 :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교환사채
· 기 타 : 국제채(원화외), 자산유동화채권(MBS,CBO,CLO 등), 지수채권(물가지수연동채)
5. 주식 : 출자지분권을 나타내는 증권
· 권 리 : 이익매당청구권, 의결권, 잔여재산분배청구권, 신주인수권
· 의 의 : 소유자로 경영참여권(의견권)을 가진다. 만기가 없고 배당지급이 의무화 안된것이 채권과 차이이며, 신주인수
의 대한 우선 매입권(지분율 확보)이 있으며 납입의무만 존재

6. 발행시장 : 최초 투자자에게 판매되는 시장
· 특 징 : 추상적, 1차, 종적
· 기 능 : ①자본조달, ②자본배분, ③투자기회, ④기업 가이드라인


· 기업공개 : 일정요건을 갖춘 기업이 일반투자자에게 주식소유를 분산시키는 것 (사적 → 공적), 소유/경영 분리
→ 발행가액 산정 방법 : 수익(미래수익 할인), 자산(주당 순자산), 상대(유사기업 주가평균)
7. 증자 :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행위
· 방법 : 유상증자(실질적 출자), 무상증자(자기자본의 재배치)
· 권리락 : 유/무상증자 시 신주배정을 받을 권리가 소멸된 상태
· 배당락 : 배당받을 권리가 소멸된 상태(배당부=배당 받을수 있는 상태)
· 계산공식

'MBA > 투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론] 1. 투자란? (16) | 2022.09.17 |
---|
댓글